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9

비발디의 바이올린 협주곡 '사계' 중 3번 가을 비발디 사계의 봄, 여름은 이전 포스트에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https://youtu.be/9yqAuvkUgOk 제3번 F장조 제1악장 알레그로, F장조, 4/4박자. 전합주의 총주가 다섯 차례 나오고, 그 사이에 독주가 네 차례 나타나는 리토르넬로 형식입니다. 여기서는 수확의 계절인 가을을 맞이한 농민들의 즐거운 모습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처음 총주는 〈농민들의 노래와 춤으로, "행복스러운 농민들은 노래와 춤으로 수확의 계절인 가을의 감사와 기쁨을 서로 나눈다."라는 시구에 대해 밝고 소박한 주제로서표현하고 있읍니다. 이어 첫 번째 독주가 위의 총주와 같은 주제를 중음연주하고, 첼로의 독주와 건반악기의 통주저음이 밑받침을 합니다. 다시 같은 주제에 의한 두 번째 총주가 나오면 이번에는 새.. 2023. 5. 20.
비발디의 바이올린 협주곡 '사계' 중 2번 여름 비발디의 사계의 봄은 앞의 포스트에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https://youtu.be/wVAq3CzHf9E 제2번 g단조 〈여름〉 제1악장:알레그로 논 몰토, g단조, 3/8박자. 총주가 네 번 나오고 그 사이에 세 번의 독주가 삽입되는 리토르넬로 형식입니다. 처음 총주는 “이 심한 더위의 계절에는 타는 듯한 태양빛에 사람도 가축도 활기를 잃고 소나무까지도 더위에 시달린다"라는 시 귀절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더위에 시달리는 권태로운 기분'이라고 서두에 주석이 적혀 있습니다. 최약 주로 연주되는 이 총 주의 악절은 쉼표가 자주 나오고 주로 하행음형으로 되어 한여름의 권태로운 기분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첫 번째 독주는 속도도 빠르고 박자도 4/4박자로 바뀌어 '뻐꾹새가 울기 시작한다'라는.. 2023. 5. 19.
비발디의 바이올린 협주곡 '사계' 중 1번 봄 비발디는 이탈리아의 위대한 바이올린 연주자이자 교육자이며 작곡가입니다. 그는 많은 가극과 기악합주곡인 협주곡을 남겼는데, 특히 협주곡은 약 450곡에 달하고 그중 현악 합주곡만이 약 330곡이나 되어 그가 현악합주곡에 얼마나 힘을 기울였는가를 말해 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비발디가 결정한 3악장 구성의 협주곡 형식은 바흐에게 영향을 주어 바로크시대의 가장 중요한 협주곡 형식 이 되었읍니다. 이 사계>라고 하는 네 곡의 작품은 1725년경 암스테르담의 르세에서 출판된 작품 8의 협주곡집 전 12곡 중의 제1번부터 제4번에 해당하며, 각각 , , , 이란 간단한 표제가 붙어있습니다. 때문에 이 네 곡을 따로 묶어서 라부르게 되었습니다. 는 3악장의 협주곡 형식을 갖추고 있지만 내용은 시적인 분위기를 지니고 있.. 2023. 5. 18.
러시아 국민악파의 거두 림스키=코르사코프 ! 림스키-코르사코프는 1844년 3월 18일 러시아의 노브고로드 지방에 속해 있는 치프빈에서 태어나, 1908년 6월 21일 역시 러시아의 류벤스코에서 64세로 세상을 떠난 러시아의 근대 민족주의 작곡가입니다. 러시아 음악 사상 찬연한 빛을 남긴 이른바, 러시아 국민악파 5인조, 즉 군인과 관사를 지낸 무소르그스키, 육군 장교인 큐이, 의사인 보로딘, 그리고 단 한 사람 직업적인 전문가 발라키레프, 여기에 해군 장교인 림스키-코르사코프 등, 러시아 민족주의 깃발을 들고 나온 대담한 혁신파의 모임 중에서도 가장 어린 나이로 참여했고, 동시에 근대 러시아 음악의 전통을 확립하는 데 누구보다도 많은 공헌을 한 사람이 립스코르사코프입니다. 이 사람은 국민악파 중에서도 지도적인 역할을 한 사람으로서, 뛰어난 이론가.. 2023. 5.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