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59 피아노가 악기의 왕이되기까지 오늘날 모든 가정에서 사랑을 받고 있고 연주회장에서도 각광을 받는 피아노가 처음 탄생한 것은, 그리 멀지도가깝지도 않은 약 3백 년 전의 일이다. 정확히 말해1709 년인데, 이탈리아 사람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Bartolommeo Cristofori)가 자신이 평소 제작해 오던쳄발로를 개량하여 만든 것이 지금의 피아노인 것이다. 쳄발로(Cembalo)는 이탈리아에서 부르는 명칭이고 영국에서는 하프시코드(Harpsichord), 프랑스에서는 클라브생(Clavecin)이라고 한다. 이 악기는 지금의 연주용피아노와 같이 생긴 악기로 음량이 풍부한 것이 장점이나줄을 뜯어 소리를 내기 때문에 음의 셈 여림이 부정확하고 연주자의 의도에 따라 뉘앙스를 달리할 수가 없는단점도 있어 크리스토포리가 줄을 햄머로 두드.. 2023. 4. 23. 세계의 유명 피아노 세계의 유명 피아노의 이야기 1. 한국 피아노 한국에 피아노가 처음 들어온 것은 개신교가 1백여 년 전에 교회 반주용으로 들어왔을 때라고 추측된다. 그리고 처음으로 피아노 공장이 세워진 것은 1952년 동보악기사인데 56년 영창악기사, 58년 삼익악기사 등이 연달아 세워지면서 한때는 21개의 생산 업체가 세워졌으나 지금은 영창, 삼익 · 한독 • 대우로 축소돼 있다. 그러나 지금은 영창악기만 있다. 그동안 한국의 피아노 제조업체는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와 품질이 국제 수준에 이르렀고 수출 또한 일본과 선두 다툼을 벌이는 정도가 되었다. 피아노는 크게 나누어 일반 가정용인 업라이트형과 연주회용인 그랜드 피아노로 나누어지는데, 한국은 주로 업라이트형을 생산, 국내 수요의 98%를 충당하고 미국·프랑스·이탈리아.. 2023. 4. 23. 피아노의 관리 피아노의 관리 피아노는 약 8천 개의 부품으로 만들어진 복잡하고 섬세한 악기로서 각 부분은 사람의 신경조직처럼 예민하므로 항상 조심해서 관리해야 한다. 피아노는 가능한 한 충격을 주지 말아야 한다. 이사할 때나 실내에서 옮길 때 가능한 한 충격을 주지 않도록 조심할 것이다. 바퀴를 굴려 옮기면 그 진동으로음이 떨어지기도 하고 물체에 부딪치기라도 하면 외장에 균열이 생겨서 회복할 수상처가 날 뿐만 아니라 없는 상태를 초래하게 된다. 페달에 무리한 힘을 주어서밟거나 덮개를 큰 소리가 나게 닫는 것도 삼가야 한다. 피아노는 나무와 쇠를 주재료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가장 큰 적은 습기이다. 습기가 차면 피아노 속에 있는 프레임 · 고정핀·현·페달에 쓰이는 파이프, 액션에 사용각종 핀 등이 녹슬게 된다. 쇠뿐만 아.. 2023. 4. 22. 현대음악 현대음악이란 현대음악의 기준을 어디서부터 잡을 것인가에 대해서는 보는 관점에 따라 다르다. 넓게는 20세기 초 이후, 좁게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절충설로는 제1차 세계대전 이후로 보는 견해가 그것이다. 광의의 경우에는 대체로 '20세기 음악', 협의의 경우엔 전위음악이라는 말로 표현되는 시대와 대체로 일치한다. 한국에 있어서 '근대' 또는 '현대'라고 할 때의 뉘앙스나 역사서 등에서 구분하고 있는 세대 개념은 제2차 세계대전을 기점으로 보는 경향이다. 20세기 초에서 제1차 세계대전까지(1890-1917) 일반적으로 낭만주의가 해체된 시기는 1890년경으로보고 있다. 그 이후 낭만주의를 계승하면서 새로운 양식을 도입했으나 제1차 세계대전을 전후하여 급속히 쇠퇴하였다. 이 새로운 양식을 몇개의 그룹으로.. 2023. 4. 22.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4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