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클래식이야기117

의지의 생활인 베토벤 베토벤의 생애 2 모차르트는 직장에서 자기에게 어울리지 않는 일이 주어지고 대우가 만족스럽지 못한 데서 오는 불편함을 이기지 못해 더 이상의 근무를 거부하고 프리랜스 음악가의 길을 걸은 것이 불행을 자초하였지만, 베토벤은 처음부터 누구로부터도 간섭받지 않은 자유 예술인의 길을 걸으면서도 성공한 것이다. 그것은 직업 그 자체에서 차이가 생긴 것이 아니라 일의 적성과 추진 역량, 그리고 시대 상황의 차이였을 것이다. 사교적인 것은 오히려 모차르트였다. 부드러운 인상, 상냥하고 유모스런 말씨, 화려한 옷차림, 그리고 항상 사교장에 나가기를 좋아하는 스타일이 모차르트였다. 이에 비해 베토벤은 무뚝뚝하고, 엉망인 에티켓하며,격하기 잘하는 성미에다 또 사람들과 어울리기를 싫어하는 성격이 모차르트와 정반대였다. 그러.. 2023. 4. 25.
생활력 강한 악성 베토벤 베토벤의 생애1 생활력이 강한 악성 베토벤은 빈에서 꿈을 펼치며 일생을 마칠 때까지 경제적으로 그다지 큰 어려움을 겪지 아니하였다. 모차르트가 굶주리며 고통당하던 그 자리에서 베토벤은 굶주림은커녕 아버지를 여읜 동생 칼과 요한까지도 데려다 학업을 마치도록 하고 자립할 터전까지 마련해 주었다. 그것이 어떻게 해서 가능했을까? 거기에 그의 기질이 있고 시대 상황이 있다. 그는 우선 유력 인사들로부터 교묘하게 후원을 받아냈다. 그러면 그 후원자들부터 알아보자. ① 발트시타인 백작 - 위에서 본 바와 같이 베토벤이 본에서 유학할 수 있도록 힘써 준 사람이다. 그는 빈 사교계에서도 거물로 통해 그의 영향권에 속한 다른 사람들로부터도 베토벤은 많은 도움을 받았다. 그래서 1805년 출판된 op.53의 피아노 소나타.. 2023. 4. 24.
가난한 음악가 집안출신 베토벤 베토벤의 생애 가난한 음악가 집안 출신 루드비히 반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은 1770 년 12월 16일 본에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날 당시의 베토벤 일가는 음악을 생업으로 삼고 있었다. 할아버지 루드비히(同名)는 앤트워프 지방에서 1733년에 본으로 이사해 와 선거 후(選擧侯, 신성로마제국의 제후 중 독일 황제의 선거권을 가진, 일곱 사람 중의 하나) 궁정악단에서 근무하다가 1767년에 악단장이 되었고, 아버지요한(Johann)은 그 악단의 테너 가수였다. 아버지 요한은 궁정 심부름꾼의 미망인 마리아 마그다레나와 결혼하여 4 형제를 두었는데 베토벤 위의 아이는 어려서 죽었으므로 3형제가 되었다. 아버지 요한은 일찍이 베토벤에게서 음악적인 재질을발견하고 네 살 때부터 피아노를 가르쳤.. 2023. 4. 24.
모차르트의 예술 모차르트의 예술 불가사의한 창조력 "저승에 가면 맨 먼저 여호와를 찾기 전에 모차르트를 만나 보아야겠다." 이것은 스위스의 신학자 칼 바르트가 한 말이다. 세계의 3대 불가사의니 혹은 7대 불가사의니 하고 말들 하지만 그중에도 가장 불가사의적인 것이 모차르트가 남긴 수많은 작품이 아닌가 한다. 20여 개의 오페라, 50여 개의 교향곡, 40여 개의 협주곡, 60여 개의 여러 종류의 소나타, 26 여 곡의 현악4중주곡, 35개의 실내악곡, 그리고 다양한 연주 형태를 위한 수백 개의 대소 작품 등 주옥같은 명곡들을 35년이란 짧은 생애에서 이루어 놓았다. 모차르트는 자신의 작품에 일련 번호를 매기지 아니하였다. 작품 중에는 그의 생존 당시에 출판되지 않은 것도 있다. 따라서 후세 사람들이 그것을 체계있게 분.. 2023. 4. 24.
모차르트의 생애 신동이던 어린 시절 음악가 중에는 천재가 많다. 슈베르트도 천재요, 쇼팽도천재였다. 그러나 그중에도 가장 천재적이라고 말할 수 있는 음악가는 역시 모차르트다. 35년이란 짧은 삶에서626 곡 작품 번호 숫자)이란 많은 작품을 남겼고, 또 그 작품들이 대부분 뛰어난 걸작이거나 모범작 들이고 보면 모차르트가 천재 중의 천재임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Mozart), 그의 이름인 아마데우스는 라틴어로 '하느님의사랑'이란 뜻이다. 하느님의 사랑을 다시 독일어로 번역하면 고트로프(Gottlob) 여서 모차르트는 고트로프라는 애칭도 함께 가졌었다. 모차르트가 천재로 태어난 것은 하느님의 사랑이었겠지만 하느님은 그에게 고르게 사랑을 베풀지는 않은 듯 빈곤이란 부.. 2023. 4. 23.
피아노가 악기의 왕이되기까지 오늘날 모든 가정에서 사랑을 받고 있고 연주회장에서도 각광을 받는 피아노가 처음 탄생한 것은, 그리 멀지도가깝지도 않은 약 3백 년 전의 일이다. 정확히 말해1709 년인데, 이탈리아 사람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Bartolommeo Cristofori)가 자신이 평소 제작해 오던쳄발로를 개량하여 만든 것이 지금의 피아노인 것이다. 쳄발로(Cembalo)는 이탈리아에서 부르는 명칭이고 영국에서는 하프시코드(Harpsichord), 프랑스에서는 클라브생(Clavecin)이라고 한다. 이 악기는 지금의 연주용피아노와 같이 생긴 악기로 음량이 풍부한 것이 장점이나줄을 뜯어 소리를 내기 때문에 음의 셈 여림이 부정확하고 연주자의 의도에 따라 뉘앙스를 달리할 수가 없는단점도 있어 크리스토포리가 줄을 햄머로 두드.. 2023. 4. 23.
반응형